이번 아티클에서는, 자가 또는 투자 구매 시 원칙들과 보통의 주택 구매자들이 현실에서 이 원칙들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가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우선 구매 원칙들을 다시 말씀 드리면 자가인 경우는 본인의 선호(Preferences) 및 보유 자금 수준 이고, 투자의 경우는 인프라, 고용 높은 곳과의 접근성, 구매 시기 입니다. 또한 부동산 가격이 소득 대비 훨씬 높은 상승률을 보임에 에 따라, Rentvesting이 부동산 구매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우선 자가(Owner-occupier)부터 살펴보면 자금 수준이란 현실에서 모기지를 갚을 때 생활에 부담이 되지 않게 구매 가능 금액을 얼마나 갖고 있는가 하는 것에 대한 인식입니다. 론브로커 등 전문가와 상담하시면 해답을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구매자의 선호 부분은 본인의 상황(직장, 자녀 교육, 쇼핑센타, 숲세권 등등)및 생활습관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현실인식이 중요합니다. 많은 고객님들이 상기 조건은 물론 앞으로 많이 오를 곳을 원하시기 때문입니다. 투자 부분에서 제일 조건이 미래 가격 상승 인데 자가는 조건에도 들지 못합니다. 이는 선호 부분과 향후 상승 가능성을 믹스하면 안 된다는 말씀입니다. 구매자의 선호 즉 살기 좋은 곳은 확률적으로 이미 가격에 많이 반영되어 타 지역 대비 오를 가능성이 낮은 것인 일반적인 현실입니다. 따라서 선호도 부분은 본인 및 가족이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불편 없이 행복하게 살수 있는 조건이나 Downsizing하시는 분들은 본인 생활습관(사교적, 자연친화적 등등) 만 고려하여 구매하시는 것이 자가구매를 성공적으로 하실 수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물론 예외적인 경우도 있습니다. 자가구매이지만 본인과 가족이 고생되더라도 개발이 덜 됐지만 향후 오를 가능성이 있는 곳에서 살겠다는 분도 있고, 우연히 직장위치 등 본인의 조건에 의해 어떤 지역을 선택 했는데 오르는 경우 입니다. 이는 아주 작위적이고 또한 우연이어서 일반적인 경우라 볼 수는 없습니다.
투자는 상기한 3조건을 지키는 것이 투자 목적인 가격 상승, 렌트 공실률 최소, 절세를 성취하는 지름길입니다. 그러나 현실 인식이라는 부분에서 비슷한 오류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3조건과 상기한 자가구매 조건인 선호도를 믹스하기 때문입니다. 즉, 본인의 눈에 좋은, 선호도가 높은 집에 기울어지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본인의 눈에 좋은 곳은 벌써 가격에 다 반영되어 있다고 다시 말씀 드립니다. 특히, 아파트를 구매하시는 분들은 투자의 3가지 조건을 정말 엄밀하게 지켜야 합니다. 세미나 때, 누차 말씀 드리지만 하우스는 땅이 라도 남지만, 아파트는 입지가 안 좋으면 시간이 지나 감가상각만 되는 빌딩만 남아 가격이 오히려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Rentvesting인데 이는 호주의 부동산 가격이 소득대비 너무 많이 올라 구매력 감소로 인해 출현한 트렌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거주하고자 하는 곳의 부동산 가격이 너무 높고, 향후 부동산 가격은 상승하므로, 가격상승이 유력한 지역에 투자로 구매하고 거주하고자 하는 지역에서는 렌트 거주 하는 것을 의미 합니다. 물론 이러한 투자 시 상기한 원칙을 지키시고 현실인식의 오류를 없애시면 성공적인 Rentvesting이 될 것이라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Harvey Kim/ 김흥국 컨설턴트
Property Consultant
M 0421 620 298
E harvey@riche-consulting.com
W www.riche-consulting.com
Youtube>> Riche Consulting
A Suite 23/ 809 Pacific Hwy Chatswood NSW 2067
저희 리체 컨설팅은 2009년 창립 이래 시드니, 멜번, 브리스베인에 자체 사무실을 보유한 컨설팅 회사로 부동산 투자를 통해 성공적인 자산 증식을 목표로 고객 여러분께 꾸준히 수익을 올려 드리고 있습니다. 부동산에 관해 문의 사항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Disclaimer:
본 칼럼은 부동산 관련 일반적인 이해를 위해 쓰였으므로 이와 관련한 법적인 책임은 지지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