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경제가 미국 발 트럼프 충격으로 뒤 숭숭 한 상태입니다. 이렇게 예측하기 어려운 외부요인들이 돌출 되면서 두 번째 열린 호주 중앙은행(RBA) 회합(Meeting)에서 기준금리(Cash rate)를 현재 상태로 유지하기로 하였습니다. 이는 현재의 기준금리 4.10%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조치에 대한 논평들을 살펴보면 경제의 불안요인- 미국의 관세정책, 연방선거 등-으로 인해 RBA가 관망하는 자세(wait-and-see approach)를 취하고 있다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이러한 국내외 환경에서 부동산은 현재 어떤 스탠스를 취하고 있고, 향후 어떻게 진행 될 것인가에 대해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번 아티클에서는 코어로직(Corelogic)의 올해 3월 부동산 동향과 향후 부동산시장의 향방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러한 궁금증을 풀어 보고자 합니다.

우선 현재 부동산 시장은 한마디로 하락세에서 벗어나 약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코어로직의3월 부동산 가격 동향을 보면 3개월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후 2월에 이어 전국기준 0.4%의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월과 같이 상승세가 주요도시나 지역(Region)에 편중된 것이 아니라 넓은 저변을 가진 성장세라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코어로직은 2개월간 상승세로 바뀐 추세가 잠깐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상승세가 아니라 하나의 추세로 자리 잡고 있다고 평가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향후 부동산 가격 상승세를 이끄는 요인과 반대로 상승세를 억제하는 요인들이 상존하고 있어, 이러한 요인들의 움직임에 따라 추가적인 상승세가 있을 것인가 아니면 보합세를 유지할 것인가를 주목해야 한다고 피력 하고 있습니다.

상승세를 이끄는 요인으로서는 첫째, 이자율 하락 부분입니다. 코어로직은 현재 예상되고 있는 연말 3.35%(기준금리) 보다 낮은 약 2.9% 수준의 이자율이 되어야 부동산 시장을 부양할 수 있는 수준이 될 것 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둘째, RBA에 의하면 가처분 소득의 증가로, 부동산 구매시 들어가는 비용인 deposit을 마련 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셋째, 인플레이션이 안정화 되고 생활비용(Cost of living)이 낮아 질 것이라는 소비자 심리지수가 상승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넷째, 공급 사이드가 높은 자재원가, 인력 부족 및 낮은 이익율으로 인한 공급 부족 우려 입니다.

그러나 부동산 시장 성장세를 가로 막고 있는 억제요인도 만만치 않은 상황입니다. 첫째 이자율 하락이 사이클이 장기화 됨에 따라, 이자율 하락 수준이 낮을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둘째, 높은 인구증가세가 정상화 됨에 따라 수요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입니다. 셋째 신용정책이 단시간 내에 완화 될 것 같지 않다는 것입니다. 즉, 더 어려워지지는 않겠지만 주택 대출 즉 모기지를 받기가 더 수월해 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우려입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동산 시장 내 상승요인과 억제요인이 만만치 않게 상존하고 있고 앞으로도 쉽게 해소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어로직의 분석대로 일시적 현상이 아닌 하나의 추세로 부동산 가격 상승세(2월/3월)가 자리잡은 것을 고려하면, 단기적으로 높은 가격 상승은 기대하기 힘드나, 저변이 확대된 낮은 성장세가 지속 될 것으로 전망 됩니다. 

연락 주시거나 저희 부동산 세미나에 참석하시면 자세한 내용과 좋은 매물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리체

Harvey Kim/ 김흥국 컨설턴트
Property Consultant
M 0421 620 298
E  harvey@riche-consulting.com
W www.riche-consulting.com
Youtube>> Riche Consulting
A Suite 23/ 809 Pacific Hwy Chatswood NSW 2067

저희 리체 컨설팅은 2009년 창립 이래 시드니, 멜번, 브리스베인에 자체 사무실을 보유한 컨설팅 회사로 부동산 투자를 통해 성공적인 자산 증식을 목표로 고객 여러분께 꾸준히 수익을 올려 드리고 있습니다. 부동산에 관해 문의 사항이 있으신 분들은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Disclaimer:
본 칼럼은 부동산 관련 일반적인 이해를 위해 쓰였으므로 이와 관련한 법적인 책임은 지지않습니다

교민잡지 editor@kcmweekly.com 
[카카오톡] kcmweekly 추가
교민잡지는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