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넷플릭스에서 방영한 조선시대좀비영화 ‘킹덤’이 외국인에게 인기가 많았던 것은 다름이 아니고 ‘갓’때문이었다. 그들이 말하는 ‘아름다운 모자’는 그 모양에 따라 시대, 계급, 직업이 다름을 상징하는데, 그들에게는 그 사실이 놀라웠으며 무엇보다도 그 아름다움에 반하게 된 것이다.
이런 아름다움은 ‘모자’뿐만이 아니고, 매듭도 있다.
매듭장이란 끈목[多繒]을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매듭을 짓고, 술을 만드는 기술 또는 그러한 기술을 가진 사람을 가리킨다. 끈목은 여러 가닥의 실을 합해서 3가닥 이상의 끈을 짜는 것을 말하는데, 그 종류에는 둘레가 둥근 끈으로 노리개나 주머니끈에 주로 쓰이는 동다회와 넓고 납짝한 끈으로 허리띠에 자주 사용되는 광다회가 있다. 복식이나 의식도구 장식으로 사용되는 매듭은 격답·결자라고 한다.
매듭의 기원은 원시시대부터라고 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에 전승되어 오는 장식과 실용적인 고유의 매듭 기법이나 염색법은 삼국시대에 중국을 통해 들어왔다. 조선시대에는 국가 소속의 매듭장이 있었다. 재료로는 명주실, 모시실, 닥나무실, 삼베실, 털실 등이 쓰인다. 끈의 색감, 굵기, 맺는 방법에 따라 형태가 다양하며 지방에 따라 그 이름도 다르다. 매듭의 이름은 생쪽, 나비, 잠자리, 국화 등 우리가 쉽게 보고 사용하는 온갖 물건, 꽃, 곤충에서 따왔다. 끈이나 매듭의 하단에 다는 것을 술이라 하는데 각종 악기, 교통용구, 불교 도구 등의 장식에 사용하였다. 술 또한 쓰임새에 따라 딸기술, 봉술, 호패술, 선추 등 다양하다. 같은 종류라도 궁중과 지방에 따라 그 품격이 달랐다.
이것을 본 네티즌들은 ‘볼 때마다 새롭고 감탄이 나옵니다. 정말 자랑스럽고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들입니다.’같은 반응을 보였다.
한국의 국가무형문화재는 문화재청홈페이지(http://www.cha.go.kr/main.html)에서 검색할 수 있다.
교민잡지 editor@kcmweekly.com
교민잡지는 여러분이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kcmweekly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