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저가 지역 폭등 부익부 빈익빈 가속화

부동산 시세가 1백만불을 호가하는 시드니, 멜버른 주택가가 지난 1년사이 급증했다. 

특히 시드니, 멜버른의 주택시세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양 도시의 웬만한 주택이면 1백만불을 호가한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호주 전국의 부동산 시세가 뛰고 있지만 양 도시의 주택시세는 날이 갈수록 가파른 상승세다. 

주택 소유자와 무주택 자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사회문제로 대두될 정도다. 단기적으로 조정기간이 예상되지만 양 도시로 쏠리는 인구 증가세를 감안하면 시드니 멜버른 주택시세는 장기적으로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라는 게 부동산 전문가들의 한결같은 분석이다. 

도메인 그룹의 조사에 따르면 시드니에서 지난 1년간1백만불이상의 가격에 팔린 우편번호 지역이156개며 멜버른은 15개에 이른다. 비교적 거래가 한산했던 중. 저가 지역이 1백만불 대로 점프, 가열 부동산의 현주소를 실감하게 된다. 

중, 저가지역 주택 가열 불 쏘시개

시드니의 경우 노스 쇼어 32개 지역, 시티와 동부지역 30개, 노던 비치 24개, 로워 노스 쇼어 23개, 이너 웨스트 22개가 이에 해당된다. 비교적 부동산 가격이 싼 지역인 캔터베리, 뱅스타운, 서부, 남서부 지역도 1백만불 호가지역으로 편입됐다. 이번 조사에서는 아파트는 포함되지 않았다. 

멜버른의 1백만불 대 진입지역 역시 시외곽의 중.저가 지역이 포함되어 있다. 양 도시의 중,저가 주택시장이 달아오르면서 1백만불 시대를 가속화 한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수요가 높아진 것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정부가 신규주택 단지를 조성하면서 시티 진입의 교통망 확충과 학교 등 공공시설의 신설로 외곽지역의 매력을 높인 것도 한 팩트로 작용했다. 

과거 시티 인근 반경10킬로미터가 매력의 포인트였다면 교통망 확충으로 20, 50킬로미터 떨어진 외곽도 시티 진입의 가시권으로 들어왔다. 저금리의 주택 융자금과 가구당 소득이 증가한 것도 주택소유의 매력을 증폭시켰다. 

베이비 부머 노인 부부가 대형주택에 장기 거주하는 것도 주택난의 한 원인이다.
1천 1백만 주 인구 증가 주택수요 급증

2026년이면 NSW주 인구가 현재 8백20만명에서 1천1백50만명으로 급증할 것으로 주정부는 예상한다. 이 인구를 수용하자면 1백70만채의 주택이 더 건설되야 한다. 

인구증가와 맞물려 정부주택 수요가 급증할 전망이다. 부동산 시세가 뛴 만큼 주택 소유율도 크게 떨어졌다. 인구 증가, 부동산 시세 폭등, 정부주택 수요 급증 등 3가지 악재가 겹쳐 있다. 

베이비 부머 세대가 25세에서 34세 사이에서 주택 소유율이 60%였으나 지금은 이 연령대의 주택 소유율은 45%선이다. 이 같은 현상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 가속화돼 결국 정부주택 수요를 부채질할 수밖에 없다. 

베이비 부머 세대 노인층 부부가 시티 인근 지역의 방 3-4개의 대형주택에 거주하는 것도 주택난을 더 악화시키고 있다. 이 같은 주택을 원하는 4-5인 가족이 이 곳에 거주할 경우, 주택난 완화와 더불어 부동산 시세의 상승을 막을 수 있으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주택거래 주춤 안정세 전망도

한편 지난 3개월간 양 도시의 부동산 경매율이 다소 떨어져 가열 부동산 시장이 조정국면이 접어들었다는 전망도 나왔다. 최고점을 찍고 상승세 국면이 고개를 숙였다는 분석이다. 지난 4월 시드니 경매룰이 19% 하향했다. 

교민잡지 편집고문 | 박병태

교민잡지 editor@kcmweekly.com 
교민잡지는 여러분이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kcmweekly 추가